코로나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본격적으로 강타하기 시작했던 지난 2020년 2월 말부터 글로벌 뉴스 미디어들은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한 “자가격리, 재택근무, 사회적 거리두기”로 대변되는 생활 패턴의 정착을 촉구했으며, 이는 글로벌 항공운항 업계부터 호텔 & 숙박업, 콘서트, 테마파크 & 스포츠 경기 이벤트, 크루즈 여행, 카지노 업계에 이르는 다수의 섹터들 내 기업에 그야말로 핵폭탄을 투하한 시장 이벤트였습니다.
그러나 모든 것에는 양면성이 존재하듯이 전년도 대비 -90% 이상의 매출 폭락세를 경험하며 기업 최대 위기에 봉착한 이들 ‘코로나 쪽박 기업들’과는 달리 오히려 코로나 바이러스 후폭풍을 타고 화려하게 승승장구하는 '코로나 대박 수혜 섹터’가 존재했으니, 바로 이번 분석글의 테마 업계, 글로벌 전자상거래(이커머스: e-commerce) 섹터 내 대표 기업들입니다.
현시점에서 생각해보면 너무나 당연한 투자 관점어었겠으나, 왜 코로나 바이러스가 무서운 발톱을 드러내던 초기 (2020년 2~3월 당시)에는 왜 이러한 투자 컨셉(접근법)을 빨리 생각해내지 못했을까? 하는 아쉬움도 생기며 동시에 이러한 이유에서 우리는 역사를 공부하고, 실수를 통해 소중한 투자 교훈을 습득하게 되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주요 국가별 메이저급 전자상거래 기업들
다시는 이러한 비극적인 상황 (글로벌 전염병 사태)이 반복되어서는 안되겠으나, 혹시 모를 또 다른 위기 시나리오 (혹은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변화하게 될 현대인들의 새로운 생활 패턴 정립이라는 시나리오)를 감안한, 주요 국가별 메이저급 전자상거래 기업에 대한 간략한 리뷰의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혹시 또 다른 메이저급 전자상거래 기업에 대해 알고 계신 SNEK 독자분들께서는 고견 공유 부탁드리겠습니다.
(1) 미국 편: 아마존, 월마트, 이베이, 웨이페어
‘전자상거래, 이커머스’라는 키워드를 접하는 순간 가장 먼저 떠오르는 기업명 몇 개만 살펴보면, 가장 대표적으로 아마존 (Amazon.com: 주식 코드는 AMZN), 월마트 (Walmart: WMT), 이베이 (eBay: EBAY), 웨이페어 (Wayfair: W) 등을 떠올릴 수 있겠습니다.
아래는 각 기업별 주가 차트(2020년 올 들어 최근까지 주가 흐름) 및 배경지식 차원에서 SNEK을 통해 공유해본 기존 분석글 링크들입니다.
(2) 캐나다 편: 아마존 캐나다, 쇼피파이
‘캐나다의 아마존닷컴’이라는 유명 닉네임을 가진 캐나다 최대 이커머스 기업은 바로 쇼피파이 (Shopify: 주식 코드는 SHOP)이며, 해당 기업에 대한 다수의 SNEK 분석글을 공유한 관계로 기존 분석글 링크 공유를 통해 대체하겠습니다.
(3) 일본편: 아마존 재팬, 라쿠텐
아마존 재팬과 일본 전자상거래 업계 양대 산맥을 이루는 ‘라쿠텐(Rakuten)’은 이미 일본인들의 +80% 이상이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흥미롭게도 라쿠텐은 다수의 유명 미국 기업들과의 사업 파트너십 체결로도 유명한 기업입니다.
지난 2015년 미국의 차량 공유 경제 업계 내 넘버 2, 리프트(Lyft)에 대한 $300 million 달러 투자 결정을 통해 리프트 대표 주주로 군림하게 됩니다. 그러나 라쿠텐은 지난 2019년 리프트의 화려한 기업 공개(IPO) 이후 리프트 투자 4년 만에 막대한 투자 수익을 올릴 것으로 시장의 기대를 모았으나, 상장 기업으로 전환된 이후 실망스러운 주가 손실률에 허덕이는 리프트의 현 기업 상황 때문에 최근 몸살(리프트 투자에 대한 평가 절하에 따른 손실 기록 등)을 겪고 있습니다.
지난 2018년 1월, 라쿠텐은 미국 최대 오프라인 유통 그룹, 월마트(Walmart: 주식 코드는 WMT)와의 사업 제휴를 통해 일본 내 온라인 식료품 배달 서비스를 론칭한 상황입니다.
아래는 최근까지 라쿠텐 주가 흐름입니다. 앞서 살펴본 다른 나라의 주요 이커머스 주식들이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이후 주식 폭등세를 경험한 것과는 달리 다소 미미한 주가 상승세가 파악된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국내 주요 이커머스 관련 자료를 살펴보면, 아마도 현재 한국 전자상거래 업계를 주도하는 대표 기업은 국내 G마켓, 옥션, G9 등을 운영하는 이베이코리아(eBay Korea)로 집계 분석됩니다.
이외에도 예스24, 네이버, 쿠팡 등을 꼽을 수 있겠으나, 예스24는 온라인 책/서점 전자상거래 업계에서 특화되었다는 점, 네이버는 순수 이커머스 플레이로만 규정짓기에는 핵심 비즈니스 범주가 넓다는 점, 쿠팡은 비상장 기업(일본의 소프트뱅크 그룹이 투자 중)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대표 기업은 이베이코리아로 좁혀집니다. 이베이코리아의 모회사 기업, 이베이(eBay: EBAY)에 대한 리뷰는 앞서 미국 편에서 살펴본 관계로 생략하겠습니다.
(5) 중국 편: 알리바바, JD.com
대표적인 두 기업에 대해서는 이미 다수의 SNEK 분석글을 통해 살펴본바 세부 내용은 기존 SNEK 분석글을 통해 대체하겠습니다.
(6) 아프리카 편: 주미아 테크놀로지스
역시나 과거 SNEK을 통해 공유해본 주미아 테크놀로지스(Jumia Technologies) 관련 분석글 링크를 통해 세부내용을 공유드립니다.
(7) 라틴 아메리카편: B2W Companhia Digital, 메르카도리브레
라틴 아메리카 내 대표 전자상거래(이커머스) 기업으로 브라질에 사업 기반을 둔 B2W Companhia Digital과 아르헨티나에 사업 기반을 둔 메르카도리브레(MercadoLibre)를 꼽을 수 있겠습니다.
유럽 내 전자상거래(이커머스)란 키워드를 접하는 순간 떠오르느 주요 기업으로는 Zalando(잘란도), ASOS, 파페치(Farfetch), 오카도(Ocado) 등을 꼽을 수 있겠으며, 다른 기업들의 특정 섹터 내 전문화된 사업 모델 ((ASOS: 온라인 패션 의류 및 화장품, Farfetch: 온라인 럭셔리(명품) 패션 종합 아이템), Ocado (온라인 식료품 잡화 배달 서비스))을 감안할 때, 유럽에서 가장 포괄적인 이커머스 성격을 띤 기업은 바로 독일 온라인 쇼핑몰 브랜드 기업, 잘란도(Zalando)를 꼽을 수 있겠습니다.
(9) 인도 편: 플립카트 (Flipkart),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즈, 아마존 인디아
인도 내 주요 이커머스 플레이어들을 살펴보면, 우선 인도 전자상거래를 주도해왔던 플립카트(Flipkart)는 미국 최대 유통 종합 기업, 월마트(Walmart)로부터의 전략적 M&A 활동을 통해 현재 월마트의 인도 사업 부문으로 재분류됩니다.
아마존 인디아는 모회사 아마존닷컴이 보유한 인도 현지 사업 부문입니다.
인도 최대 재벌 그룹,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즈(Reliance Industries) 산하에 ‘지오 마트, 지오 플랫폼’과 같은 차세대 신기술로 무장한 ‘뉴 이커머스 플레이어들’의 강세가 예측되는 가운데, 최근 지오 플랫폼(릴라이언스: Reliance)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추진했던 알파벳/구글과 페이스북을 통한 간접 투자 접근법도 고려할 수 있겠습니다.
- 중국과 미국 싸움에 반사 이익을 누리는 인도 최대 재벌 기업,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즈 (Reliance Industries)
- 페이스북이 노리는 또 다른 ‘신의 한수 투자 전략’, 인도의 지오 플랫폼 (Jio Platforms)
이커머스 (e-commerce) 투자 대박을 맛보는 유명 헤지펀드들
그렇다면, 글로벌 전자상거래(이커머스: e-commerce) 기업들의 코로나 수혜를 간파한(그리고 지난 2020년 1분기 투자 기간 내 유명 이커머스 주식들에 대한 높은 투자 비중을 유지한) 일부 유명 헤지펀드들의 지난 2020년 1분기 기간 내 Top 10(상위 10권 포트), 신규 매수(new purchase), 추가 매수(additional purchase) 전략들에 대한 간략한 분석을 다음과 같이 공유드립니다.
참고로 매 분기 공개 발표되는 13F 보고서의 주요 투자자들의 대부분은 미국 주식들로 구성되었음을 감안, 앞서 살펴본 글로벌 전자상거래 (이커머스: e-commerce) 기업들 중 미국 기업들 (혹은 미국 증시 내 상장 거래되는 기업들) 위주로 분석했습니다.
(1) 아마존
아래 테이블은 2020년 1분기 기간 내 아마존 주식을 Top 10 (상위 10권 포트) 주식 중 하나로 보유하고 있는 유명 헤지펀드들입니다. 참고로 아래 테이블 내 실제 주가는 해당 테이블을 만들었던 지난 2020년 5월 18일 당일 기업별 실제 주가를 기준으로 작성된 것이며, 이후 최근까지 폭발적 주가 수익률을 창출하고 있는 글로벌 전자상거래 관련주들을 고려할 때 투자율은 월등히 높은 수준일 것으로 예측 분석됩니다.
아래 테이블은 2020년 1분기 기간 내 월마트 주식을 Top 10 (상위 10권 포트) 주식 중 하나로 보유하고 있는 유명 헤지펀드들입니다.
아래 테이블은 2020년 1분기 기간 내 이베이 주식을 Top 10 (상위 10권 포트) 주식 중 하나로 보유하고 있는 유명 헤지펀드들입니다.
아래 테이블은 2020년 1분기 기간 내 웨이페어 주식을 Top 10 (상위 10권 포트) 주식 중 하나로 보유하고 있는 유명 헤지펀드들입니다.
아래 테이블은 2020년 1분기 기간 내 쇼피파이 주식을 Top 10 (상위 10권 포트) 주식 중 하나로 보유하고 있는 유명 헤지펀드들입니다.
아래 테이블은 2020년 1분기 기간 내 알리바바 그룹 주식을 Top 10 (상위 10권 포트) 주식 중 하나로 보유하고 있는 유명 헤지펀드들입니다.
아래 테이블은 2020년 1분기 기간 내 JD닷컴 주식을 Top 10 (상위 10권 포트) 주식 중 하나로 보유하고 있는 유명 헤지펀드들입니다.
- 인기 모바일 앱, 틱톡(Tik Tok) 지분을 보유한 유명 헤지펀드들의 최근 투자 현황(2020년 1분기 13F 보고서 분석)
- 타이거 컵스 (Tiger Cubs) 2019년 4분기 13F 보고서 분석
현지 기준으로 이번 주 금요일 (2020년 8월 14일)부터 전격 공개될 이들 유명 헤지펀드들의 2020년 2분기 기준 최근 투자 현황 분석글 시리즈를 통해 헤지펀드 투자 업계 내에서 대활약하는 셀럽급 머니 매니저들은 최근 어떤 기업 주식들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지 심층적인 추가 분석글로 SNEK 독자분들과 공유드릴 수 있도록 현재 준비하고 있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